빅데이터로 지역의 관광활성화 수준을 진단할 수 있을까
- 한국관광공사, 관광빅데이터 기반 지역 관광활성화 지수 분석 -
한국관광공사(사장 김장실)는 관광 빅데이터(이동통신, 카드소비, 내비게이션 등)를 기반으로 지역 관광활성화 수준 진단에 최적화된 분석 모델을 개발하고, 기초지자체별 관광활성화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지역 관광활성화 지수를 발표했다.
지역 관광활성화* 지수는 ‘한국관광 데이터랩’에서 보유하고 있는 관광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관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종합 반영한 단일지수이다. 각 주요요인간 상관성에 기반한 가중치를 통해 산출되었으며 250개 지자체***는 지역 관광활성화 수준에 대한 추세 및 주요요인별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 (관광활성화) 방문객의 숙박, 외식, 쇼핑, 관광서비스 이용 등 관광관련 활동을 통해 관광산업이 원활하게 유지되는 정도 및 성과로 이어지는 수준으로 정의
** (주요요인) 내국인 방문자수(성별×연령별, 거리별), 외국인 방문자수(국적별), 관광목적지 검색건수, 업종별 관광지출금액, 숙박일수 등
*** (분석대상 지자체) 기초지자체 226개, 행정시(제주?서귀포?세종) 3개, 고양?성남?수원?안산?안양?용인?전주?창원?천안?청주?포항 11개 기초지자체는 하위 행정구(32개)
관광 수요자 중심의 이종 빅데이터 간 융합분석 시도
선행 연구 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분석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였으며, 다양한 빅데이터 간 융합 분석을 통해 도출한 단일 지수로 지역 관광활성화 수준을 진단하는 유일한 사례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기초지자체별로 지역의 관광활성화 수준을 월별로 파악하고, 64개 주요 요인별로 타 지자체와 대비 상대적인 우위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 관광활성화를 위한 대응에 활용할 수 있다. 향후 빅데이터 기반 분석 모형의 고도화를 통해 더욱 효율적인 지역의 관광활성화 대응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되고 있는 지역 관광활성화 수준
관광활성화 수준은 백신보급 이후 코로나19 발생 이전으로 회복되고 있는 중이다. 실제로 코로나19 발생 이전 연도인 2019년(2019년 1월~2020년 1월), 코로나19 발생연도인 2020년(2020년 2월~2021년 2월)과 백신 보급연도인 2021년(2021년 3월~2021년 12월)에 대하여 17개 시도간 관광활성화 지수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 2021년, 2020년 순으로 나타나 백신보급 이후 코로나19 발생 이전 시기로 관광활성화 지수가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각 시도마다 차이는 있지만 모든 시도에서 일치했다. 특히 제주는 2019년 대비 2020년 감소(99.97→88.79)했으나 2021년에는 99.60으로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기반의 지역관광 의사결정 가능
지자체별 관광활성화 수준 진단 및 주요요인 간 비교 가능
지역 관광활성화 지수를 통해 관광 빅데이터 주요요인이 지역 관광활성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데이터 기반의 지역관광 의사결정 지원과 각 지자체별 관광활성화 수준 진단 및 주요 요인 간 비교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2020년 1월 관광활성화 지수가 95.7인 A 시군구의 경우 타 시군구 대비 상대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지수 범위 100~0), 관광활성화 지수의 7개 세부지표와 이를 구성하는 64개 하위 지표 값을 살펴본 결과, ‘20대 남성 방문’ 지표 값이 99.8로 타 시군구 대비 상대적 수준이 매우 높고, A시군구의 관광활성화 수준에 큰 긍정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관광 관심도’지표 값은 34.6으로 관광활성화 지수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임에 따라 자연관광 콘텐츠 개선 및 홍보 강화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A 시도군에서는 지역 관광활성화를 위해 상대적 우위 요인은 지속 강화하고, 열위 요인들을 개선하는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공사에서는 한국관광 데이터랩(datalab.visitkorea.or.kr)에서 11월 14일부터 지역별 관광활성화 지수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시각화 서비스인 지역관광진단*과 함께 빅데이터 기반 지역 관광활성화 AI 진단체계 구축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관광활성화 지수는 여러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단일지수인 반면, 지역관광진단은 방문자유입, 숙박방문자 비율, 체류시간, 검색량, 관광소비의 다섯 개 개별지표에 대한 전년대비 증감률 및 광역/기초지자체별 순위를 개별적으로 확인 가능
*담당자 : 관광컨설팅팀 정선희 팀장 (033-738-3451) / 홍주연 박사 (3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