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TO경영

일자리 창출

추진체계

KTO 일자리 로드맵
비전
관광 생태계 혁신과 상생협력을 통해 신규 일자리 및 지속 가능한 좋은 일자리 창출
중장기
성과목표
중장기 성과목표:구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2025년 정보입니다.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민간 일자리 창출 수(명) 2,394 2,632 2,838 3,060 3,304 3,569
환경(E) 34.5 40.0 42.0 44.1 46.3 48.6
전략방향
  • 사회형평성 공공 일자리 창출
  • 혁신추구형 관광 일자리 창출
  • 상생협력형 사회균형 일자리 증대
  • 미래지향형 디지털 기반 일자리 확대
추진과제
  • 채용여력 최대확보,다양한 근로형태로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 운용 적정성 제고 및 전환 근로자 고용의 질 향상
  • 관광벤처기업 성장지원 으로 지속가능 신규 일자리 창출 관광업계 위기극복 및 혁신 지원으로 일자리 유지
  • 지역관광 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일자리 확대 조달·위탁 사업에 의한 민간 일자리 창출
  • 관광·ICT 융합형 인재 육성 기능 강화로 지속가능 일자리 확대 관광업계 디지털 전환 및 엽업 지원으로 고용 역량 강화
KTO 좋은 일자리 위원회
  • 위원회 구성 및 운영 (`21.7월 ~ )
  • `21 ~ 25 일자리 창출 전략방향에 따라 2개 분과 4 개 부문으로 변경
  • 일자리 창출 밀착 관리를 위한 실무 주니어리더 그룹 신설
KTO
좋은 일자리
위원회
(위원장 : CEO)
공공일자리 분과
(분과장 : 경영지원실장)
사회형평적 일자리 부문
민간일자리 분과
(분과장 : 관광기업지원실장)
혁신추구형 일자리 부문
상생협력형 일자리 부문
미래지향형 일자리 부문
KTO 좋은 일자리 위원회
관광일자리 정보
추진체계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200